본문 바로가기
주식 이야기

돈을 부르는 매매의 타이밍! [신과함께 연말특집]

by 소프트 디퓨저 2021. 1. 7.

주가가 오르고 내리는 이유

주체가 누구던 

가격을 내리면서 사면 하락하고,

가격을 올리면서 사면 상승한다.

즉 외국인가 샀다, 기관이 샀다 이런 관점에서 가격 변동을 볼게 아니라

주체(거래량)가 나타났을때 싸게 팔고 있는가, 비싸게 사고 있는가가 주가의 방향이다.

 

 

매매기법

 

1. 가장 좋은 매매타이밍은 변동폭이 클때!

   그때 뭘 살지 패닉매수리스트를 만들어 놔라

 

2. 지정학적 리스크도 변동폭이 큰 기회이다. 

    예 : 북한 리스크

 

3. 매 분기 실적시즌때 변동성이 발생할때 그때도 기회이다.

 

4. 하루 중 변동성이 가장 큰 시간은 장 시작 후 30분, 종료 전 30분

   전날 장대 음봉이 크게 나온 종목이 다음날 갭상승해서 뜨지 않는다.

   일단 보합으로 시작하면 마이너스까지 빠지고 

   +3%로 시작해도 보합까지 밀렸다가 다시 올라 가고는 한다.

   

    개장 후 1시간동안 공방 후 횡보하던 종목은 2시 30분 이후 또 움직인다. 이때의 방향성이 다음날 방향을 결정한다.

 

5. 강세종목은 오전 1시간 중 밀렸을때 매수 해야 한다. (기다리면 안된다)

   약세종목은 오전에 오른다고 사면 안된다.

   1) 오후까지 기다리고

   2) 거래량이 늘고

   3) 양봉이 나와야 다음날 오를 가능성이 높다.

 

6. 강세장에서 상대적 약한 종목

   몇일에 걸쳐 눌림목을 기다려라, 순환매 방식으로 거래 해라

 

7. 약세장에서 강한 종목

   아침에 매수, 하지만 무조건 단기 매매 해라

 

8. 저점이라 판단해서 1차 매수 했는데 반등 했다가 다시 하락했을때는 하락한다고 바로 사지 않는다.

   하락할때 직전의 저점을 깨지 않고 다시 올라 갈때 그때 매수한다.

   이때가 역 헤드앤숄더의 무릎이다. 

   약세시장에서는 오후에 확인 된다.

 

9. 고점 확인 방법

   거래량 없이 상승하다가 거래량이 증가하면서 장대 음봉이 나왔을 때 그때가 고점이다.

   헤드 앤 숄더는 강력한 추세 변환으로 매도 시점이다.

 

10. 거래량

    가격이 상승하면서 거래량이 증가하는것은 상승 강도가 증가하는 것이다.

    가격이 하락하면서 거래량이 증가하는 것은 하락 강도가 증가하는 것이다.

    

    가격이 많이 올라간 상태에서 거래량이 올라갈 때는 거래량이 없어야 좋다.

    거래량이 적다는 것은 매도자가 적다는 뜻이다. 

    이때 거래량이 증가하며 보합 또는 양봉이 나왔다 하더라도, 매도 세력이 늘었다는 뜻이다.

    이러면 추세 변환, 1차 매도라고 보면 된다.

   

    반대의 경우는 매수 신호이다.

    떨어질때도 거래량이 줄어드는 종목을 찾아야 한다.

    거래량이 늘어나면서 빠진 종목은 다시 올라가는 동안 계속 매물대가 쌓여있다는 뜻이다.

 

11. 시간과 주식보유 기간

     시간은 결국 risk 이다. 이것을 회피하기 위해 각 구간별 특정 싸이클에 맞춰서 거래해야 한다.

     예 : 반도체 호황이 내후년까지 라고 해도 지금 가서 내후년까지 들고 있는게 아니다.

          

12. 주가의 기울기

     기본적으로 주가의 기울기는 영업이익의 기울기 이다.

     가파르게 상승한 종목은 하락도 가파르게 한다. 급상승 후 완만하게 하락하는 종목은 없다.

     가파르게 상승한 종목은 매도 타이밍도 빨라야 한다.

     가파르게 상승했다가 살짝 빠진 후 다시 올라가는 종목이 진짜 좋은 종목이다.

     완만하게 오른 종목은 완만하게 빠진다. 매수 타이밍도 느긋하게 잡아야 한다.

 

13. 상투 - 매도 타이밍

     주가 상승 중 매도 잔량은 없는데 매수 잔량이 많은 경우 이때는 상투이다. 

     왜냐 파는 사람이 없어서 더이상 못 올라 간다.

 

14. 바닥 - 매수 타이밍

     거래량이 실린 양봉에 있을때 매수 타이밍 - 단 오후에 판단한다.

     오전 장에 평소랑 체결단위가 다르면 매수/매도 신호가 나오는 날이다.

     체결 단위가 늘면서 떨어지면 매도 신호

     체결 단위가 늘면서 올라가면 매수 신호

 

15. 주문 내는 방법

     딱 떨어지는 단위의 호가(예:만원, 5만원)는 뚫기가 힘들다. (저항선 또는 지지선)

     단위 가격에서 체결이 된다면 위로 뚫거나 아래로 뚫릴 수 있다.

     즉 상승 단위 가격에서 매도가 체결되면 더 올라갈 가능성이 높고

     하락 단위 가격에서 매수가 체결되면 더 내려갈 가능성이 높다.

 

     주문은 단위 가격 +- 1~2호가 정도로 내는게 좋다


'주식 이야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순환매의 원리  (0) 2021.01.08
종목 찾기  (0) 2021.01.08
2021년 대한민국 주요 기업 사업 전략과 전망  (0) 2021.01.04
심텍 - PCB 세계 1위 업체  (0) 2020.12.27
2차 전지 (양극재)  (0) 2020.12.27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