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식 이야기

켐트로닉스

by 소프트 디퓨저 2021. 3. 2.

 

기업 개요 : 무선충전과 자율주행사업의 전자부품을 공급하는 전자부품사업과

               전자용, 공업용 케미칼을 생산 및 식각을 하는 화학사업 사업부문을 영위함.

                전자 : 58.54%, 화학 : 41.46%

 

키워드 : 무선충전, 자율주행, V2X(Vehicle to Everything), ADAS, 하만, 폴더블, UTG, WIFI 모듈(From 삼성전기)

카메라 기반 360도 영상시스템 솔루션 제공

 

★ V2X 솔루션

▶ V2X 솔루션을 자체 개발하여, 판교제로시티, 세종시 자율주행차 인프라 구축 사업, 제주 버스정보시스템(BIS), 대구 수성 알파 지구 등에 차량용 단말기(OBU) 및 도로용 기지국(RSU)를 공급하고 있으며 해외 OEM 및 Tier1 업체와 V2X 관련 기술 공급을 위해 협상 중.

이들 지방자치단체가 올해 본사업에 나서면서 주문 물량이 크게 늘어날 것이라는 관측이 나온다.

단 V2X는 5G를 근간으로 하는 서비스

LG유플러스는 지난 3월부터는 세종시에서 국내 중견기업인 켐트로닉스와 함께 자율주행 셔틀서비스 실증사업을 진행 중이다.

 

차세대 지능형 교통 시스템(C-ITS: Cooperative-Intelligent Transport Systems)

국토교통부는 올해부터 C-ITS 본사업을 실시한다. 그동안 시범사업과 실증사업만 진행했으나 올해부터 본사업을 시작해 2025 년까지 전국 고속도로 및 국도에 C-ITS 를 구축할 예정이다.

무엇보다 국토교통부에서 추진하는 한국판 뉴딜정책에는 2024 년까지 전국 고속도로, 국도에 V2X RSU 를 설치할 계획으로 이와 관련해서 동사의 수혜가 예상된다.

단 시행단계로 짧은거리를 하기때문에 내년에 매출이 본격적으로 발생하지 않는다.

 

 폴더블 UTG

폴더블 관련 성장성 동사는 디스플레이 패널용 유리를 얇게 깍는 초박형 식각 공정 기술을 보유하고 있는데, 이 기술을 바탕으로 폴더블 스마트폰에 사용되는 초박막 강화유리(UTG: Ultra Thin Glass) 가공 기술을 개발 중에 있다. 향후 폴더블 스마트폰 시장이 급속도로 커질 것으로 예상됨에 따라 성장성 등이 가시화 될 것이다

 

 

 

현재 시가 : 29,250

적정 주가 : ROE X EPS = 14.21 X 985 = 13,966 원

 

현재 시가총액 : 4,346 억원

적정 시가총액 : 영업이익 X ROE = 220 X 14.21 = 3,126억원

 

PER : 4,346 / 220 = 19.75

PER 30 적용시 : 영업이익 X PER = 220 X 30 = 6,600억원

PER 30 적용 시 예상 주가 : 6,600억원 / 주식 수 = 44,420원

 

현재 상태 : 15,000원대 부터 봤으면 지금 100% 상승 가격

               단 고점 대비 약 14.5% 하락 상태

 

 

카더라

서울시 5G융합 자동차 커넥티드 서비스(서울시에서 운행되는 버스 1000대를 대상으로 시범서비스를 시작하는데, 차량과 차량, 보행자, 인프라 등을 끊기지 않고 계속해서 연결해 교통사고를 획기적으로 줄일 수 있는 서비스

→ 하만, 켐트로닉스 합작 프로젝트...

SK텔레콤은 앞으로 삼성전자와 하만이 공동 개발한 차량용 5G 통신 단말을 서울 시내 1700대의 버스와 택시에 장착할 예정이다. 이는 도로 위험요소를 실시간 파악해 운전자에게 알리고, 도로 시설물 변화 자동감지를 통한 교통 인프라 운영 효율화에도 활용될 수 있다.

 

 

UTG - 켐트로닉스가 삼성전자의 폴더블 스마트 폰의 패널 납품 하게 된다면 라인의 증설 공시를 하게 될 것....

         이것도 빨라야 5월에나 알 수 있을 듯

 

무선충전 - 애플에 이어 삼성도 유선 어댑터를 제거 / 아직 멀었음

 

 

삼성전자 자회사인 하만이 차량과 사물간 통신(V2X) 기술을 보유한 미국 스타트업 사바리(Savari)를 품는다. 자율주행 기술력을 강화해 미래차 시장을 선점할 계획이다.

1일 업계에 따르면 하만은 사바리 인수를 추진한다. 2011년 설립된 사바리는 5세대 이동통신(5G) 기반 V2X 솔루션을 개발해 완성차 주문자상표부착생산(OEM) 업체에 공급하고 있다.

→ 사바리 라는 회사가 V2X 기술만 가지고 있는지 모듈까지 만드는지... 

 

 

중간 결론

→ 고점대비 약 15% 빠진 상태이기는 하지만 여전히 비싼 가격인듯

    하지만 차트상으로는 28,000원대가 지지선인듯

2020년 투자활동현금흐름이 크게 늘은것은 좋지만

영업활동현금흐름과, 재무무활동현금흐름은 그닥 좋지 않다.

부채비율은 약 45%가량 증가

→ 부채를 늘려서 투자를 했고, 2021년도에 투자 효과가 영업이익으로 찍힌다면 긍정적

 

4. 매출액 또는 손익구조 변동 주요원인 - 전자부품사업 및 DP사업 매출 증가
- 전자부품 및 화학사업 설비증설, 베트남 위츠비나 신규공장 셋업 및 켐트로비나 기존공장 2배증설로 고정비 증가에 따른 영업이익 감소

'주식 이야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식품  (0) 2021.03.09
휠라홀딩스  (0) 2021.03.03
내일의 부 - 조던 김장섭  (0) 2021.02.21
반도체 소재/소모품 업체  (0) 2021.02.19
1년중 10일만 매매하는 직장인 투자법  (0) 2021.02.16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