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승분의 50% 이상으로만 하락하고 올라가는 것 : 눌림목
[이상적 이론]
시장 참여자들이 1만원 부터 1만 1천원까지 10% 오르는 동안 동일한 수량을 매수를 했다면
이들의 평단가는 중간인 5%상승한 1만 5백원
다음날 가격이 하락할때 1만 5백원 이하로 떨어지면 손해보기 시작하는 사람들이 생기기 때문에
본인의 평단가에서 추매를 해서 가격 방어를 하고
이후 상승하면 눌림목이 완성된다.
※ 그래서 매도 할때는 이전 양봉의 50%를 아래로 돌파 하기전에 매수 한다.
[저항선 이론]
시장 참여자들이 1만원 1천원 부터 1만까지 내리는 동안 동일한 수량을 매수를 했다면
이들의 평단가는 중간인 1만 5백원, 종가 1만원 상태에는 모두 손해인 상태
다음날 가격이 하락해서 본인가격에 왔을때 손실 회피를 위해 팔기 시작하면
저항선이 생긴다.
※ 그래서 매수 할때는 이전 음봉의 50%를 위로 돌파 한 후 매수 한다.
몇일 상승한 종목의 상승폭은 상승한 봉 전체를 하나의 봉으로 취급한다.
이때 상승구간의 윗쪽 30% 구간에서 등락하면 [조정]
눌림목 매매는 상승종목에서만 한다.
상승 핵심도 상단, 하단을 연결하고
일봉이 핵심도 하단과 만날지점을 예측해서 눌림목 매매를 준비한다.
이때 핵심도 하단을 뚫고 내려가면 하지 않는다. (이미 상승분의 50% 이하 이다)
상승종목 눌림목에서 실패하면 아래 지지선이 있지만
하락종목 눌림목에서 실패하면 아래 지지선이 없다.
※ 박스권 종목도 눌림목 매매는 하지 않는게 좋다.
추천 눌림목 자리
(1)하락후 반등 → (2)횡보 → (3)상승 → (4)하락
(4)번의 위치가 (3번) 상승 구간의 50% 윗부분 일때 눌림목 완성
(실패해도 횡보 구간이 지지선이 된다)
강력한 상방 = 밥그릇 3번, 구름대 돌파, 장기 이평선 돌파
볼린저 밴드를 이용한 눌림목 매수 타이밍
(1) 일봉이 볼린저 밴드 상단을 뚫는다.(2) 상승, 하락, 횡보 후 밴드 하단하고 닿을때 (3) (1)번 밴드 하단점과 (2)번 밴드 하단점을 추세선 연결한다.(4) 이때 추세선이 상승하고 구름대 위에 있으면 매수 타이밍(5) 실패하면 급락
[실패하는 원인 5가지]
1. 고점매수 저점매도
고점 매수 - 저점 매도를 피하는 방법
대부분의 사람들이 떨어지면 도망가고, 올라가면 쫒아간다. 그래서 고점 매수, 저점 매도를 반복한다.
남들이 안 사는 종목을 사라
2. 불안감
올라갔을때 나만 없을때 생기는 불안감
내려갔을때 나만 가지고 있을것 같은 불안감
대중과 다름에 익숙해져야 한다.
3. 무지
불안감은 결국 모르기 때문이다. 뭐든지 할 수 있는건 다 해봐라
왜 떨어지는지 모르고, 왜 오르는지 모르면 불안하다.
4. 확률보다 수익률
예 : 좋은 주식을 장기로 분할 매수 했으면 손해 볼 확률은 적다.
5. 유연하지 못한 생각
고수들은 고집은 있지만 타인의 정보를 듣고, 판단하고 본인이 틀렸으면 수정을 한다.
하지만 하수는 아예 타인의 정보를 들으려고 하지 않는다.
본인이 산 주식은 긍정적인 뉴스만 보고 부정적인 뉴스를 보려 하지 않는다.
'주식 이야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2월 12일 (0) | 2022.02.12 |
---|---|
2월 9일 - 관심종목 선정법 (0) | 2022.02.09 |
[매매의 기술] - 이동평균선 매매전략 (0) | 2021.10.21 |
일목균형표 (0) | 2021.08.08 |
1분 단테 정리 (0) | 2021.08.08 |
댓글